글 카테고리/2016트렌드

트렌드 ] 카페트렌드 5년 주기론

달빛페이지 2015. 4. 29. 20:26

카페트렌드 분석자료 - 카페의 유행은 끝. 새로운 변화로 생존의 길 모색해야



카페의 유행주기변화
'카페'의 유행주기 google trend analysis data = 분석/달빛페이지

'카페' 라는 그 이름

구글 트렌드 분석 자료에 따르면 '카페' 의 검색비율은 2012년 2월을 정점으로 하향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2010년 부터 카페창업의 붐이 시작된 이래로 2012년 2월에 최고 수치를 기록 그후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트렌드의 5년 주기론과 정확히 일치한다.

'서울대소비분석센터' 분석자료에 따르면  '트렌드'를  그 지속기간에 따라서 5가지로 분류하고 있는데 '카페' 의 경우는 위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5년의 주기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노멀 트렌드'에 해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카페들은 색다른 변화를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카페라는 기존의 서비스 유형은 내리막 길인것이 분명하다.

커피는 문화 그 자체.  카페는 거들뿐

커피
'커피'의 유행주기 google trend analysis data = 분석/달빛페이지

커피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커피'의 가치는 문화 그 자체이다. 트렌드의 가장 상위범주인 '컬쳐'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커피'자체의 가치는 사라지지 않는다. 카페의 경우는 커피의 범주에 포함되며 하위 그룹이 된다.  위 그래프는 2010년에 카페창업 열풍이 불면서 동시에 커피의 검색 비율은 매우 증가했으며 점차 안정적인 궤도로 진입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해외의 에스프레소 문화가 한국에 전이된 것이다. 앞으로도 커피산업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아울러 질 좋은 홈메이킹 커피가 일반 가정에 보급되며 카페의 커피시장 장악력은 점점 약화될 것이다.

커피를 뺏긴 카페들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홈메이킹이 될 수 없는 고가의 스페셜티를 대량으로 취급하거나 디저트를 위주로 판매하며 매출을 올리는 방법이다. 하지만 규모가 작은 동네의 커피전문점은 이러한 변화에 비용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른다. 가장 좋은 방법은 커피의 영향력으로부터 독립하는 것이다. 과연 새로운 대안은 있는가?

홍차
'홍차'의 유행주기 google trend analysis data = 분석/달빛페이지

모두가 놓치고 있는 것

다음은 홍차의 유행주기이다. 현재 시점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상승곡선 또한 언제까지 올라갈지 모르는 일이다. 홍차의 트렌드는 현재가 최고조 혹은 최고조를 향해 달려가고 있음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서는 홍차 콘셉트의 전문점을 쉽게 찾아볼 수 없다. 틀에 박힌 커피전문 프랜차이즈 만이 도처에 산재할 뿐이다. 카페의 다양한 변화는 현재 요원한 상태이다.

계절별 트렌드도 눈여겨 보아야

예를 들어보자. 아래의 그래프로 볼때 '핫초코'는 계절별 유행에 상당히 민감한 아이템이다. 매년 12월만 되면 관심도는 100배 이상 증가한다.이런데도 동네 카페는 봄이나 여름이나 가을이나 겨울이나 매 한가지의 메뉴를 지속적으로 판매한다. 작은 카페의 가장 강점은 시기적절하고 빠르게 변화할 수 있다는데 있다. 카페사장들은 계절에 따른 혹은 유행에 따른 아이템을 시기적절하게 채택하여 프로모션해야 하는 이유다.

소비자의 요구는 점점 세부화 되어가고 있다. 하나의 결정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기업프랜차이즈와는 별개의 노선을 걸어야 하는 이유이다. 작은 매장은 시장반응에 적절히 대처하여 지역별 트렌드에 민감해야 살아나갈 수 있다.

핫초코트렌드
'핫초코'의 유행주기 google trend analysis data = 분석/달빛페이지

[취재 달빛페이지 편집국]
Copyrights ⓒ 달빛페이지 (www.moon-page.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